연중 제31주일 강론
10 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 가을의 정점을 지나는 시점이 시작되었습니다 . 이제는 서서히 겨울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 환절기에 건강관리 잘하시기를 바랍니다 . 교회의 전례력도 이제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으로 향해 가고 있습니다 . 11 월 3 주 동안은 교회가 한 해를 마무리하는 주간입니다 . 또한 11 월은 위령성월입니다 . 대림절을 앞두고 우리 삶을 돌아보는 11 월이되었으면 합니다 . 그리고 먼저 하늘나라로 가신 분들을 위해 기도하는 11 월이 되었으면 합니다 . 오늘 복음은 마르코 복음 12 장으로 건너뛰어 ‘ 가장 큰 계명 ’ 에 대해서 말씀하십니다 . 우리가 익히 들어 잘 아는 복음 말씀입니다 . 오늘의 복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 절의 말씀도 덧붙여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 앞 절의 말씀은 예수님과 사두가이파 사람들과 죽은 이들의 부활에 대해서 논쟁을 합니다 . 참고로 , 사두가이는 복음서에서 우리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 때로는 바리사이와 함께 소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마태 3,7: 16,11012: 22,34). 이 사두가이는 이스라엘의 다른 집단 ( 핫시딤 , 엣세느 , 바리사이 ) 들과는 반대로 정치적 여당 성향이 뚜렷하였습니다 . 명사와 부자 , 대제관 가족과 귀족들이 서로 전혀 동질성이 없으면서도 이에 속하였습니다 . 유대 국가의 마지막 70 년간 정규적으로 권력의 최고 대표자인 현직 대제관이 그들 가운데서 나오기도 하였습니다 . 이들의 신학 사상은 모든 혁신을 거부하고 되도록 오경만을 구속력이 있다고 인정한다는 의미에서 보수적인 단체였습니다 . “ 조상전통 ” 이라는 바리사이 해석전통을 그들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 묵시문학 종말론적 희망에도 동참하지 않았습니다 . 사후에 이어지는 삶도 죽은이들의 부활도 없고 , 구원은 역사 안에서 실현된다고 , 천사의 존재도 거부하였습니다 . 이들은 옛 상태의 “ 구약성서 ” 와 완전히 일치해 있었습니다 .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