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제22주일 강론
8 월의 마지막 주일입니다 . 3 일 후면 9 월로 들어갑니다 . 2021 년도 이제는 4 개월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 4 개월이나 남았다는 분도 계실 것이고 4 개월 밖에 남지 않았다고 조바심내는 분도 계실 것입니다 .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많은 것 같으면서도 막상 개인 앞에 닥쳐오면 아쉬움과 후회가 남는 법입니다 . 지혜로운 사람은 신간의 흐름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계획적으로 시간을 이용하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 연중 22 주일은 이제 일상의 복음으로 돌아왔습니다 . 지난 5 주간 우리는 ‘ 생명의 빵 ’ 에 대해서 오랫동안 들었고 묵상했습니다 . 오늘은 생명의 빵 이전의 복음으로 돌아와서 마르코 복음의 7 장을 읽습니다 .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이 조상들의 전통을 지키지 않는 제자들의 행위를 보고 예수님께 시비를 걸면서 한판 붙으려고 찾아옵니다 . 여기서 잠깐 바리사이와 율법학자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 바리사이 ( Φαρισα ῖ ος , pharisees)’ 라는 이름은 ‘ 분리된 자들 , 선별된 자들 ’ 이라는 뜻입니다 . 바리사이들은 도시와 마을에 머물고 성전에도 머무는 사람들이었습니다 . 그들의 간절한 관심사는 자신들과 백성들의 성화와 정결이었습니다 . 이들은 성전 밖에서도 제례적 정결 법규를 준수하는 것이었습니다 . 이들은 제례적 정결 규정을 일상생활에서도 철저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제례적 정결 규정 준수를 통해 일상생활의 의례화와 일상생활의 성화를 실현하고자 하였습니다 . 결국 , 율법 조항에 목숨을 걸고 산다고 보시면 됩니다 . 유대인들에게는 모세가 전해준 십계명을 시간이 흐르면서 십계명에서 파생되어 나온 조항들이 하나 하나 생기게 되었으며 , 이것을 율법이라 불렀습니다 . 나아가서 , 율법 외에도 전통이라는 것이 생겼으며 , 이것을 ‘ 조상전통 ’ 이라고 불렀습니다 . 율법학자들은 바리사이들과 함께 복음서에 단골로 나오는 명칭입니다 . 어떤 성서학자는 ‘ 율사들 ’ 을 거론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