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 선포와 순교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
복음선포와 순교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
저는 중학교 1학년 때 세례를 받았는데 교리를 가르쳐 주신 수녀님께서 제 세례명을 정해 주셨습니다. 처음에는 103위 한국순교성인들 가운데 한명으로 축하받는 것이 아쉬웠지만 하상바오로 성인의 삶을 묵상하면서 제 주보성인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정하상이 일곱살 나이에 아버지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와 형 정철상 가롤로가 천주교인이라는 이유로 참수당하는 것을 목격하고 어린 동생 정혜와 어머니 유 세실리아와 함께 풀려났으니 그에게 천주교 신앙이란 가족을 앗아가고 말로 못할 고난을 가져온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하상바오로는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해 국경 11회, 중국 북경까지 9회나 왕복하면서 조선교회를 위해 헌신했습니다. 그 결과 조선교구가 설립되었고 마침내 엥베르 주교님과 사제들이 조선에 들어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엥베르 주교님은 정하상이 사제가 되기에 합당하다고 여겨 그에게 라틴어와 신학을 가르쳤는데 그의 나이 39세 때였습니다.
그러나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 하상바오로와 가족들이 모두 잡혀 모진 고초를 겪고 순교하였는데 그의 나이 42세였습니다.
하상바오로 성인이 이루지 못한 꿈인 사제가 된 저는 하상바오로 성인의 삶을 닮고자 오늘 바오로 사도의 말씀을 삶의 모토로 삼고 살아갑니다.
"나는 훌륭히 싸웠고 달릴 길을 다 달렸으며 믿음을 지켰습니다"(2티모 4,7).
오늘 또 다른 주인공인 사도 베드로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리더입니다. 불같은 성질로 예수님께 꾸지람도 듣고 결정적으로 예수님을 배신하기도 했습니다. 오늘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이르신 말씀을 다시 상기해 봅시다.
"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저승의 세력도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마태 16,18).
부제 때 로마 성지순례를 갔었는데 스카비 투어로 성베드로 대성당 지하를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그곳은 원래 로마 외곽의 늪지로 베드로가 죽은 뒤에 초세기 신자들의 지하무덤이 있었습니다. 어두운 곳을 한참 걷다가 성베드로 대성당 중앙 제대 바로 아래에 다다른 가이드는 이곳에서 손과 발이 잘린 오십대 남성의 시신이 발굴되었다고 했습니다. 바오로 6세 교황은 1968년에 다음과 같이 선언했습니다.
“우리는 감히 말합니다. 사도 베드로의 유해가 확인되었습니다. 베드로가 여기에 있습니다. 여기에 머무르고 여기에 기도하고 여기에 순교하였습니다."
오늘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이 그대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반석이라는 뜻의 베드로 위에 말 그대로 교회가 세워진 것입니다.
우리 신앙의 두 기둥인 바오로와 베드로는 둘 다 복음 선포를 위해 모든 것을 바쳤고, 둘 다 로마에서 순교하였습니다. 복음 선포와 순교없이 지금의 교회는 없을 것입니다.
“순교자 신앙으로 이 땅에 빛을!” 우리 본당의 미션입니다. 조선이라는 땅에 계급이나 신분 없는 사회, 남녀평등, 그리고 하느님의 자녀로 새로 태어나는 그리스도교 복음을 접했던 선조들은 목숨까지 내어놓는 순교로 그 신앙을 지켰습니다.
우리 역시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처럼 한국 순교자 신앙으로 볼티모어에 복음을 전하는 그리스도의 빛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천주의 성모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한국의 성인들과 순교자들이여, 저희 본당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