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제 32 주일
완연한 가을이지만 날씨가 꽤 덥습니다.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볼티모 교구 사제 연수회(Convocation)에 갔다 왔습니다. 140명 가까운 신부님들이 세 분의 주교님과 함께 3박 4일의 일정을 함께 하였습니다. 마지막 저녁 식사 시간에는 잠시 일어나서 한국순교자 성당의 건축과 저의 임기가 내년 1월까지라고 공지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순교자 성당을 위해 기도해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연중 32주일에 예수님께서는 두 가지 말씀으로 우리에게 다가오십니다. 하나는 율법 학자들을 본받지 말라는 말씀이고, 다른 하나는 과부의 헌금에 대해서 말씀하십니다. 이스라엘 남자들은 누구나 축일에 두루마기 비슷한 예복을 입었습니다. 특히 율법 학자들과 바리아이들의 예복은 한결 더 길었다고 합니다. 또한 남자들은 탈출 13,1-6. 신명 6,4-9. 13,-21에 나오는 내용을 적어 작은 성냥갑 비슷한 것에 넣어 그것을 이마와 왼팔 윗부분에 묶고 다녔습니다. 소위 성구갑 입니다. 그리고 겉옷 자락 네 곳에는 흰 실과 푸른 실을 꼬아 만든 술을 달고 다녔는데 소위 “옷단의 술”이라고 불렀습니다. 예수님 시대에 율법 학자들이 지나가면 사람들은 일손을 멈추고 선생님(랍비) 또는 “아버님”이라 부르면 인사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지역의 유지이기 때문에 어느 모임에서나 윗자리를 차지하였다고 합니다. 예수님은 이런 율법 학자들의 행동을 못마땅하게 생각해서 그들을 조심하라고 합니다.
오늘 복음을 묵상하면서, 예수님께서 오늘날에 계셨으면 분명히 교우들에게 “사제들을 조심하여라. 그들은 수단이나 로만 카라를 하고서는 어디를 가든지 인사받기를 좋아한다. 어느 모임에서든지 높은 자리를, 잔치 때에는 윗자리를 스스로 찾아서 앉으려고 한다.” 또한 “혼자서는 기도하지 않으면서 교우들과 함께하는 자리에서는 기도를 길게 한다.”라고 말씀하셨을 것입니다.
강론을 준비하는 이 시간에도 예수님께서 저에게 말씀하심을 듣습니다. “제발 인사받기 전에 먼저 인사하고, 모든 사람에게 자신을 낮추는 모습을 보여주어라. 세상 물질에 너무 신경 쓰지 말고 누가 있든 없든 기도 생활에 충실하라. 가지고 있는 재물은 너의 것이 아니기에 필요한 곳에 아낌없이 사용하여라. 필요하면 내가 채워 줄 것이다. 나는 네가 필요할 때마다 채워주었다. 그것은 네가 더 잘 알 것이다.” 예, 맞습니다. 옳으신 말씀입니다. 주님께서는 제가 필요할 때마다 아낌없이 채워주셨습니다.
사람들은 자기에게 먼저 다가오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베푸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몇일 전 신문에 “선한 오지랖”이라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분식집에 라면과 김밥 먹으러 온 가난한 어머니와 아들이 주문하고 계산을 하려는데, 가지고 있는 돈으로는 조금 부족한 것을 알았습니다. 당황해하는 순간에 뒤에 있던 사람이 나머지 돈을 지불 하였습니다. 고마움을 표시하고 어머니와 아들은 맛있게 라면과 김밥을 먹고 돌아갔다고 합니다. 그 광경을 본 분식집 주인이 신문사에 “선한 오지랖”이라고 제목을 붙여 제보하였다고 합니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기사였습니다.
먼저 다가가고 무언가를 베풀고 산다는 것은 누구나 가능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창조하실 때, 인간의 마음속에 하느님과 같은 본성을 심어주셨기 때문입니다. 어릴 적부터 먼저 인사하고 베푸는 것을 해본 경험이 없어서, 성인이 되어서도 못하는 것입니다. 오늘 예수님께서 질책한 율법 학자들은 어릴 때부터 교육을 엄격하게 받은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왜 그들이 공관 복음서 전반에 걸쳐 바리사이들과 함께 예수님께 질책과 비판을 받았을까요? 그것은 다름 아닌 집단 이기주의와 교만에서 오는 악습 때문입니다. 그들은 스스로 자기들이 거룩한 사람이고 이미 심판을 받아 구원받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집단 이기주가 아랫사람으로 자연스럽게 전달되기 때문에 자신을 돌아보고 회개라는 것을 모르고 산 사람들입니다.
스스로를 낮추고 남을 추켜세워 주세요. 누가 옳고 그름을 따지기 전에 먼저 자신을 낮추어 보십시오. 갈등이 줄어듭니다. 자신을 먼저 앞세우고,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갈등이 생기고 원한과 미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 강론을 읽으면서 반성하는 분들이 있겠지만,
현실에서는 당연히 자신 중심으로 살아가는 것이 우리 자신입니다. 자신을 낮추어 보십시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