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from September, 2024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순교자 대축일

  오늘은 우리 본당의 주보 축일입니다 . 잘 아시는 것과 같이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 동료 순교자 대축일입니다 . 주보 ( 主保 ) 라는 말은 수호성인이라는 말입니다 . 우리 볼티모 한국순교자 성당의 수호성인은 한국의 103 위 성인 모두를 의미합니다 . 이렇게 많은 성인께서 우리 본당을 지켜주시고 하느님께 끊임없이 기도해 주시고 계십니다 . 이러한 기도 덕분이 우리 본당이 어려움은 있었지만 그래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 또한 성인들의 도우심으로 앞으로 많은 발전을 거듭하리라 확신하고 희망을 가져봅니다 .   1984 년 5 월 6 일 , 지금은 없어진 여의도 광장을 가득 매인 교우들 앞에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 세는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을 향해 “ 한국의 103 위 순교자를 성인 반열에 올리노니 , 세계 교회가 공경하기를 바랍니다 .” 라는 선언으로 한국 교회에 103 분의 성인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 가톨릭 교회의 전통과 관례에 따르면 ,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는 그 성인에게 기도하여 기적이 일어나야 합니다 . 일명 기적 심사라고 하는데 , 그 당시 한국 주교단에서는 교황청에 ‘ 기적 심사 관면 ( 면제 ) 청원 ’ 을 제출하여 수락을 받았습니다 . 교황청에서 자세히 심사하는 과정에서 한국 교회의 놀라운 점을 발견하였습니다 . 조선 땅에 신앙의 씨앗이 뿌려진 계기가 다른 교회와는 다르게 성직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평신도들에 의해서 자생적으로 교회가 시작되었다는 점이었습니다 . 가톨릭교회 역사에 이러한 양식의 복음 선포는 없었기 때문입니다 . 또한 성인 청원서에 기록된 복자들이 모두 순교한 분이었습니다 . 또한 일찍부터 순교 보고서가 상세히 기록된 것도 103 위 복자들이 시성 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오늘은 103 위 순교 성인 중에서 가장 나이 어린 성 유대철 베드로 성인을 잠깐 소개 하겠습니다 . 유대철 성인에게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 ...

연중 제 24주일 강론

9 월의 셋째 주일 , 본당의 주보 축일을 맞아 야회 미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 올해는 다른 해와 달리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 순교자들 대축일을 당겨서 하지 않고 한국 교회는 늦추어 22 일 주일에 지내게 되었습니다 . 우리 본당에서도 한국 교회 전례력에 맞추어서 오늘은 연중 24 주일 미사를 지내고 , 다음 주 22 일 주일에 본당 주보 축일 미사를 하도록 합니다 . 특별히 오늘 미사는 한국의 추수 감사절인 추석을 맞이하여 조상들을 위한 합동 위령 미사를 거행합니다 . 미사 중에 하느님 곁으로 가신 조상님들을 위해 기도해 주시고 , 자비하신 하느님께서 조상님들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시도록 기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봉헌 예절 중에 합동 분향이 있겠습니다 .   연중 24 주일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당신의 정체성에 관해서 물으십니다 . 사람들이 당신을 누구하고 하는지 먼저 제자들에게 물으시고 , 그 물음 제자들에게 물으십니다 . “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하고 하느냐 ?” 이 물음은 비단 예수님과 함께 다니던 제자들뿐만 아니라 현실에 있는 우리 자신에게도 묻고 계십니다 . 이 물음에 제자들을 대표해서 베드로 사도가 나서서 “ 스승님은 그리스도이십니다 .” 하고 대답합니다 . 이 대답은 베드로 사도 개인뿐만 아니라 함께 있던 사도들과 현실의 우리 고백이기도 합니다 . 고백이어야만 합니다 .   성서학적인 차원에서 보면 , 베드로 사도의 고백에 대해서는 역사적 신빙성은 적다고 봅니다 . 오히려 이 베드로 사도의 고백은 예수님 공생활 중에 나온 사실이기 보다는 예수님 부활 이후 초대교회의 신앙고백이라는 인상이 짙습니다 .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님의 사건들을 , 특히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 사건을 선포하고 믿었습니다 . 또한 한 걸음 더 나아가 예수님의 정체를 밝히면서 “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 예수님은 그리스도이시다 .” 라고 환성을 질렀다고 합니다 . 성서학자들은 베드로 사도의 답변은 바로 이 환성의...

연중 제 23주일 강론

  7 월부터 본당에 장례 미사가 많아졌습니다 . 그런데 이번 한 주 동안에 네 분이 하느님 곁으로 가셨습니다 . 본당 어르신들의 말씀에 따르면 , 이런 경우는 본당 생기고 처음이라고 하십니다 . 세 분은 연세가 많아서 하느님 곁으로 가셨지만 한 분은 젊은 나이에 하느님 곁으로 가셨습니다 . 저뿐만 아니라 많은 교우분들이 너무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 제발 평소에 건강 검진도 정기적으로 받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하느님 곁으로 가신 교우분들을 위해 본당 공동체 전체가 한마음으로 기도합니다 .   오늘 예수님은 전도 여행 중에 청력을 잃은 한 사람의 귀를 열어주십니다 . 전도 여행 중에 청력을 잃은 사람을 고쳐주셨는데 , 띠로 지방 , 데카폴리스 지방은 유대인들 보다는 이방인들이 많이 살았다고 합니다 . 그래서 아마도 성서학자들은 이 귀먹은 사람 역시 이방인 가능성이 많다고 합니다 . 유대인들은 이방인과 자신들의 구별을 확실하게 합니다 . 그러나 예수님은 이 구별을 하지 않습니다 . 예수님에게서 있어서 중요한 것은 하느님을 믿고 세상의 구원자로 오신 당신을 믿느냐 믿지 않느냐가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 복음서 전체를 보더라고 이방인이라고 기적의 은총이나 구마의 은총을 거부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   오늘의 복음에서는 귀먹은 사람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습니다 . 단지 사람들이 그를 예수님께 데리고 왔을 때 , 예수님은 “ 당신 손가락을 그의 두 귀에 넣으셨다가 침을 발라 그의 혀에 손을 대셨다 . 그리고 나서 한숨을 내쉬신 다음 , 그에게 ‘ 에파타 !’ 곧 ‘ 열려라 ’ 하고 말씀하셨다 .” 하고 전하고 있습니다 . 좀 특이한 방법으로 치유하시는 모습입니다 . 성서학자들에 따르면 , 손가락을 넣고 침을 바르며 하늘을 쳐다보고 숨을 내쉬는 것은 당대 유대계 및 이방계 기적 이야기에 흔히 나오는 치유 행동이라고 합니다 . 침은 불 , 피 , 술 , 기름과 더불어 액체 약품에 속하였습니다 . 하늘을 쳐다보는 것은 하늘의 기운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