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제4주일 강론

벌써 1월의 막바지에 와 있습니다. 1월 마지막 주일입니다. 2022년도 11개월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많이 수그러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안심할 단계는 아니기에 각별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1월 마지막 주, 연중 4주일 복음은 지난주 복음에 이어집니다. 안식일에 예수님의 고향인 나자렛 회당에서 이사야 예언서를 읽고 난 후의 반응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회당 사람들의 일부는 그분의 말씀 선포에 감명, 감동과 떨림을 경험한 후, 예수님에게 너무 좋은 반응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좋은 반응을 보인 사람들에 곧바로 이어져 나오는 반응은 예수님의 말씀 선포에 너무나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예수님을 거부하는 반응을 보입니다. 그 거부 반응의 명분은 다름 아닌 가족사를 들먹이는 것입니다. 현실을 사는 우리와 별반 다른 것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심리학적 차원에서 그들을 보면, 분명히 회당에서 말씀을 선포하신 예수님에게서 그들은 감동, 감명과 떨림을 체험하였고, 그전에는 체험하지 못한 말씀 선포하시는 예수님에게서 그들은 말씀의 권능, 권위 그리고 힘을 체험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예수님을 인정하기 싫어하였습니다. 예수님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느님 구원역사의 섭리하심에서 자신들을 스스로 빼버리는 꼴이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예수님의 가족사를 떠벌리면서 스스로 명분을 찾고 있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예수님은 구약성서의 예를 드시면서 그들을 더욱 자극하였습니다. 그 말씀들은 그들을 무시하는 말로 이해하였기에, 예수님에게 대드는 모습까지 연출하게 되었습니다. 예수님과 고향 사람들의 관계가 최악으로 치닫는 모양새가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이제 함께 삶을 살아왔던 고향 사람들 가운데 당신을 거부했던 사람들을 더는 하느님 나라에 초대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길을 갔으며, 그들의 삶은 성서에서 다시는 언급되지 않습니다. 그들은 누구의 탓도 아닌 스스로 구원의 초대에, 하느님 나라의 초대에 거절하였습니다.

 

누구나의 삶에서 우리는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관계의 시작은 수용이냐 아니면 거절이냐에 따라서 판가름 납니다. 가정 공동체에서는 필수적인 관계가 형성됩니다. 이것은 수용이나 거절의 상황은 아닙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상황은 달라집니다. 표면적으로는 관계를 맺고 사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 관계가 더 이상 지속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관계는 혈연관계이기 때문에 다시 회복할 기회는 많이 있습니다. 신앙 공동체 안에서의 경우에도 비슷합니다. 왜 우리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 서로에게 형제· 자매라고 부릅니까? 혈연적인 관계도 아닌데도 말입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우리는 한 하느님를 모시고 그 하느님을 아버지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백은 혼자만의 고백이 아니라 공동체 모두의 고백입니다. , 같은 신앙. 같은 믿음. 같은 하느님으로부터 자녀라고 인정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형제· 자매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신앙 공동체 안에서의 관계는 혈연관계보다 더 깊고 굳은 관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약한 인간이기에 우리는 관계 형성에 있어서 신앙보다는 우리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여 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이 사실입니다. 나 자신의 감정 상태에 따라서 관계의 정도가 너무나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우리의 신앙의 대상인 하느님 아버지와 그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에 한결같은 감정으로 우리와 관계를 맺고 계십니다. 우리가 비록 나약하고 불안한 감정과 정서에 의지하면서 살아가지만, 오늘 제2독서의 말씀을 묵상하고 마음에 새기고 산다면 어느 정도 우리의 나약함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유명한 고린트 전서 12사랑의 찬가입니다. 사랑이 있는 감정은 모두를 좋게 보게되고, 악화 되었던 관계도 회복 시켜 줍니다. 사랑이 없는 감정은 우리를 점점 더 어느 공동체에서나 멀어지게 되고, 서로에게 무관심하게 되고, 비겁하게 개인의 가족사를 건드리게 되며, 그 결과는 자신에 돌아오게 됩니다.

이번 한 주간동안에 사랑의 찬가를 마음에 새기고 기도하는 한 주간 되었으면 합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연중 제 6주일 강론

하늘의 시민 (사순 제2주일)

좋은 나무 ( 연중 제 8주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