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복음 선포와 순교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

                                                                       복음선포와 순교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   저는 중학교 1 학년 때 세례를 받았는데 교리를 가르쳐 주신 수녀님께서 제 세례명을 정해 주셨습니다 . 처음에는 103 위 한국순교성인들 가운데 한명으로 축하받는 것이 아쉬웠지만 하상바오로 성인의 삶을 묵상하면서 제 주보성인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1801 년 신유박해 때 정하상이 일곱살 나이에 아버지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와 형 정철상 가롤로가 천주교인이라는 이유로 참수당하는 것을 목격하고 어린 동생 정혜와 어머니 유 세실리아와 함께 풀려났으니 그에게 천주교 신앙이란 가족을 앗아가고 말로 못할 고난을 가져온 것이었습니다 .   하지만 하상바오로는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 오히려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해 국경 11 회 , 중국 북경까지 9 회나 왕복하면서 조선교회를 위해 헌신했습니다 . 그 결과 조선교구가 설립되었고 마침내 엥베르 주교님과 사제들이 조선에 들어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엥베르 주교님은 정하상이 사제가 되기에 합당하다고 여겨 그에게 라틴어와 신학을 가르쳤는데 그의 나이 39 세 때였습니다 .   그러나 1839 년 기해박해가 일어나 하상바오로와 가족들이 모두 잡혀 모진 고초를 겪고 순교하였는데 그의 나이 42 세였습니다 .   하상바오로 성인이 이루지 못한 꿈인 사제가 된 저는 하상바오로 성인의 삶을 닮고자 오늘 바오로 사도의 말씀을 삶의 모...

주님 밥상 식구 (성체 성혈 대축일)

                                                                    주님밥상 식구 ( 食口 ) (성체성혈 대축일)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 , 이것이 제가 가장 공감하는 행복의 정의입니다 . 문명이 아무리 발달해도 우리의 원시적인 뇌가 여전히 가장 흥분하며 즐거워하는 것은 음식과 사람입니다 . 오늘 우리가 기념하는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에는 음식과 사람이 있습니다 . 바로 예수님의 몸과 피를 나누어 마시기 위해 모인 그리스도인 공동체입니다 . 우리는 같은 집에서 살며 끼니를 함께 하는 식구 ( 食口 ) 입니다 . 함께 먹는다는 건 상대가 나를 해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을 때 가능한 행위입니다 . 동시에 식구란 밥만 나누는게 아니라 기쁨 , 슬픔 , 삶의 무게를 함께 나누는 존재입니다 . 식구끼리 함께 식사를 하면서 대화를 나누고 꼭 필요한 인성을 형성해 주는 것이 밥상머리 교육이라고 하는데 오늘 우리가 먹고 마시는 성체성사에 대해 밥상머리 교육을 할까 합니다 . ' 당신이 무엇을 먹었는지 말해주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겠다 .' 라는 말이 있습니다 . 우리는 우리가 먹는 것에 의해 결정됩니다 . 다른 말로 하면 내가 먹는 것 , 그것이 바로 나입니다 . 미국 영양학자 빅터 린드라는 말했습니다 . " 우리가 아는 병의 90% 는 싸구려 음식 때문에 생긴다 . 당신이 먹는 것이 당신을 만든다 .“ 맛있다고 달고 짜고 기름기 넘치는 음식 , 건강한 식재료가 아닌 가공된 패스트 음식 , 심지어 유전자 조작된 음식을 계속 먹으면 어떻게 될까요 ? 그렇습니다 . 건강 뿐만 아니라 몸과 ...

십자성호 (삼위일체 대축일)

                                                                            십자성호 (삼위일체 대축일) 첫사랑 , 로맨스는 생각만해도 기분이 좋습니다 . 하지만 한때 우리를 설레게 했지만 무모했던 감정은 대부분 실패의 기억을 떠올리게 해 씁쓸하기도 합니다 . 그도 그럴것이 성숙하지 못한 풋풋하기만 한 감정은 자기중심적이어서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하기 어렵습니다 . 누구나 경험한 혼자만의 사랑은 한계가 뚜렷합니다 . 그러다가 마침내 천상배필을 만납니다 . 이제는 상대를 배려하고 사랑을 키워나가기 위해 애씁니다 . 이 세상에 오직 한사람만을 위한 사랑에 헌신합니다 . 남들도 우리 사랑을 알아볼 정도로 친밀합니다 .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예전에 좋았던 상대의 모습이 자꾸 신경 쓰이기 시작합니다 . 끊임없이 둘만 있기를 , 자신만 바라봐 주기를 바라는 사랑이 집착처럼 여겨지고 둘 사이 관계도 점점 시들해져 갑니다 . 그제서야 다른 사람들이 보입니다 . 한두번 어울리다보니 둘 사이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신선함과 활력을 느낍니다 . 배우자에게 말하지 못한 고충을 털어놓기도 하고 공감받고 위로를 느낍니다 . 한번도 생각하지 못한 친구이자 이웃과 함께 공동체가 되고 서로 나누면서 성장해 가는 것을 느낍니다 .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사랑의 길이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요 ? 자기중심적인 감정에서 벗어나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지만 진정한 사랑의 성숙은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 말입니다 . 부부를 보더라도 아무리 서로 사랑해도 자기들끼리만 좋으면 그 사랑은 열매맺지 못합니다 . 부부 사랑...

가장 좋은 위로자 (성령강림대축일)

                                                                       가장 좋은 위로자 (성령강림대축일) 찬미 예수님 ! 한국 가톨릭 신자들은 서로 만날 때마다 인사를 이렇게 합니다 . 찬미 예수님 ! ‘ 예수를 찬미합시다 ’(laudate Jesum) 를 줄인 인사말 ‘ 찬미 예수 ’ 는 조선시대 박해 때에 탄생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우리 신자들 고유의 인사입니다 . 그런데 이 인사말에는 더 깊은 뜻이 담겨 있습니다 . 찬미 예수님은 내 안에 계신 성령께서 상대방 성령에게 인사하는 것입니다 . 서로 다른 두 사람이 각자 안에 계신 같은 성령을 알아보고 기뻐하며 인사하는 것입니다 . 마치 불교에서 부처님은 모든 사람안에 계시기에 서로에게 ' 성불하십시오 .' 하고 인사하는 것과 같습니다 . 성령은 생각보다 가까이 있습니다 . " 나약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 우리는 올바른 방식으로 기도할 줄 모르지만 , 성령께서 몸소 말로 다할 수 없이 탄식하시며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해 주십니다 "( 로마 8,26). 마찬가지로 " 성령에 힘입지 않고서는 아무도 "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 할 수 없습니다 "(1 코린 12,3). 오늘은 성령강림대축일이며 교회가 태어난 날입니다 . 성령 강림으로 교회가 세워지고 사도들은 복음 선포의 사명을 부여 받았습니다 . 성령강림대축일은 뜻하는 Pentecost 는 '50 번째 ' 라는 뜻의 그리스어입니다 .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뒤 50 일째 되는 날에 성령께서 오셨습니다 . 우리는 성령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 성령없이 예수님을 주님으로 고백할 수 없으며 성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