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함께 맞는 비 (연중 제 15주일)

  함께 맞는 비 (연중제 15 주일) < 굴뚝 청소한 두 아이 이야기 > 오늘 예수님께 ' 자기가 정당함을 드러내고 싶어서 " 그러면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 하고 묻는 율법 교사 ' 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리 가운데 흔히 만날 수 있는 사람입니다 . 항상 자신은 옳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을 가르치려 드는 사람 , 자신은 모든 것을 다 알고 있으니 ' 내 말을 들어라 ' 하고 말하는 사람은 율법 학자처럼 ' 예수님을 시험하려는 ' 불순한 의도로 그럴듯한 질문을 합니다 . 예전에 대구대교구 사제 연수 때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신천지에 포섭되어 활동하다가 극적으로 탈퇴한 젊은이의 체험담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 상상을 초월한 방식으로 조직적으로 치밀하게 목표로 한 사람을 세뇌시켜 이단에 빠지게 하고 가족마저 버리고 거짓 신념으로 교주를 맹신하게 만드는 무서운 이야기였습니다 .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이었습니다 . 발표자가 이야기를 마치고 청중인 사제들로부터 질문을 받았는데 어떤 사제가 ' 신천지를 탈퇴한 지금도 가끔 그때가 그립지 않나요 ?' 하고 물었습니다 . 반인륜 집단인 이단 신천지에서 벗어나 그 고통에 대해 특강을 한 사람에게 해서는 안될 질문이었습니다 . 대답을 주저하는 발표자에게 그 사제는 ' 이상한 집단이지만 어디서도 느껴보지 못한 희열을 느끼고 빠져들지 않았나요 ? 종종 지금도 그때가 그립지 않나요 ?‘ 마치 죄인을 추궁하듯이 질문을 쏟아내는 사제와 두려움에 떨고 있는 발표자 , 마침내 ' 그랬던 것 같다 .' 며 인정한 발표자에게 ' 그럴 줄 알았습니다 .' 하고 혼자 말을 하며 마이크를 내려놓는 사제에게 저는 인간에 대한 예의와 상식마저 저버린 그의 집요함과 잔인함에 치를 떨었고 동료로서 부끄러움을 느꼈습니다 . ' 나는 다 알고 있다 ' 고 생각하는 그 사제는 자기가 옳음을 드러내고 싶어서 한 사람의 상...

공간은 정신을 지배한다 (연중 제14주일)

                                                                  공간은 정신을 지배한다 (연중 제 14 주일) "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습니다 "( 루카 10,11). 하느님의 나라는 무엇인가요 ? 죽은 뒤 가는 천국인가요 ? 아니면 우리가 있는 이곳에서 발견할 수 있나요 ? 하느님의 나라는 하느님께서 다스리는 곳입니다 . 죄와 악으로부터 해방되고 , 아픈 이가 치유되고 가난한 이에게 복음이 선포되는 곳 , 한마디로 하느님 계신 곳이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 하지만 하느님의 나라는 이미 왔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 용서 , 치유 , 정의 , 사랑의 공동체에서 찾을 수 있지만 죽음이 없는 새 하늘과 새 땅으로 완전히 실현되지는 못했습니다 . 그렇다면 이미 온 하느님의 나라는 어디에 있을까요 ? ' 하느님 나라가 우리 한가운데에 있다 ' 고 가르치신 예수님의 말씀으로 우리는 하느님 나라가 신앙을 가진 우리 마음에 , 사랑의 공동체 안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하느님의 나라는 가까이 있습니다 . 지금 이 자리가 하느님의 나라이며 , 우리가 준비하는 새성전 역시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 공간은 정신을 지배합니다 . 이 말은 우리가 단순히 공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 공간이 우리의 사고와 감정 , 정체성을 형성해서 우리가 어떤 사람이 될지도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 그런 면에서 새성전은 새공동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중요한 것은 새공간에 맞는 새정신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점입니다 . 과거의 상처 , 반목 , 두려움 , 어둠이 지배적이라면 용서 , 신뢰 , 희망 , 빛이 들어올 자리가 없을 것입니다 . " 보라 , ...

복음 선포와 순교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

                                                                       복음선포와 순교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   저는 중학교 1 학년 때 세례를 받았는데 교리를 가르쳐 주신 수녀님께서 제 세례명을 정해 주셨습니다 . 처음에는 103 위 한국순교성인들 가운데 한명으로 축하받는 것이 아쉬웠지만 하상바오로 성인의 삶을 묵상하면서 제 주보성인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1801 년 신유박해 때 정하상이 일곱살 나이에 아버지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와 형 정철상 가롤로가 천주교인이라는 이유로 참수당하는 것을 목격하고 어린 동생 정혜와 어머니 유 세실리아와 함께 풀려났으니 그에게 천주교 신앙이란 가족을 앗아가고 말로 못할 고난을 가져온 것이었습니다 .   하지만 하상바오로는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 오히려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해 국경 11 회 , 중국 북경까지 9 회나 왕복하면서 조선교회를 위해 헌신했습니다 . 그 결과 조선교구가 설립되었고 마침내 엥베르 주교님과 사제들이 조선에 들어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엥베르 주교님은 정하상이 사제가 되기에 합당하다고 여겨 그에게 라틴어와 신학을 가르쳤는데 그의 나이 39 세 때였습니다 .   그러나 1839 년 기해박해가 일어나 하상바오로와 가족들이 모두 잡혀 모진 고초를 겪고 순교하였는데 그의 나이 42 세였습니다 .   하상바오로 성인이 이루지 못한 꿈인 사제가 된 저는 하상바오로 성인의 삶을 닮고자 오늘 바오로 사도의 말씀을 삶의 모...

주님 밥상 식구 (성체 성혈 대축일)

                                                                    주님밥상 식구 ( 食口 ) (성체성혈 대축일)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 , 이것이 제가 가장 공감하는 행복의 정의입니다 . 문명이 아무리 발달해도 우리의 원시적인 뇌가 여전히 가장 흥분하며 즐거워하는 것은 음식과 사람입니다 . 오늘 우리가 기념하는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에는 음식과 사람이 있습니다 . 바로 예수님의 몸과 피를 나누어 마시기 위해 모인 그리스도인 공동체입니다 . 우리는 같은 집에서 살며 끼니를 함께 하는 식구 ( 食口 ) 입니다 . 함께 먹는다는 건 상대가 나를 해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을 때 가능한 행위입니다 . 동시에 식구란 밥만 나누는게 아니라 기쁨 , 슬픔 , 삶의 무게를 함께 나누는 존재입니다 . 식구끼리 함께 식사를 하면서 대화를 나누고 꼭 필요한 인성을 형성해 주는 것이 밥상머리 교육이라고 하는데 오늘 우리가 먹고 마시는 성체성사에 대해 밥상머리 교육을 할까 합니다 . ' 당신이 무엇을 먹었는지 말해주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겠다 .' 라는 말이 있습니다 . 우리는 우리가 먹는 것에 의해 결정됩니다 . 다른 말로 하면 내가 먹는 것 , 그것이 바로 나입니다 . 미국 영양학자 빅터 린드라는 말했습니다 . " 우리가 아는 병의 90% 는 싸구려 음식 때문에 생긴다 . 당신이 먹는 것이 당신을 만든다 .“ 맛있다고 달고 짜고 기름기 넘치는 음식 , 건강한 식재료가 아닌 가공된 패스트 음식 , 심지어 유전자 조작된 음식을 계속 먹으면 어떻게 될까요 ? 그렇습니다 . 건강 뿐만 아니라 몸과 ...